"고대앞 멸치국수 "간판 밑에 붙어 있는 광고.
어릴때 만두는 좋아 했어도 팥이든 찐빵은 싫어 했다.
칼국수는 좋아 했어도 잔치 국수는 국수 맛이 아니라 나에겐 죽을 맛으로 항상 먹다 남기고 했다.
아무리 멸치국물 국수에 맛있는 고명을 얹어도 맛이 없었다
요즈음 결혼 식장 이 웨딩홀이 되었건 비싼 일류호텔이 되었건 빠지면 혼인이 무효라도 되듯 꼭 필수 음식으로 등장하는 것이 잔치 국수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신김치보다 날김치가 좋아지고 이제 국수도 기계로 뽑은 잔치국수까지 맛있어졌다.
불로그에 엊그제 마침 "고대앞 멸치국수"간판이 붙은 집이 소개 되어 오늘 안사람을 끌고 고대역에서 하차했다.
삼각지 할머니 잔치국수집을 가본다는 것도 계속 미루고 있어 고대앞부터 가자고 작정하고 나섰다.
쇠뿔도 단숨에가 이런 것이다.
간판이 보여 가까이 다가가자 "허영만의 식객(동아일보 만화연재)에 나온 집"이라는 광고판이 보였다.
생각보다 크지 않은 홀이 아주 깔끔하다.
앉은 자리 까지 큰 멸치포에서 나오는 냄새가 폴폴난다.
우선 에피타이져로 왕만두 한접시(4개,2,000원)를 시키고 뜨거운 멸치국수(3,000원 )한그릇과 뜨거운 김치말이 국수(3,500원)를 주문했다.
왕만두에서 옛날 만두 맛이 났다.
무말랭이를 넣었다는 얘기다.
부추까지 들어간 중국식 만두를 기대한다면 무리다.
만두는 가격,크기 ,맛 -대만족으로 점수를 주자
만두를 먹고 한참 기다리자 국수가 나왔는데 점심시간이 지난지 오래여서 허기진 마음에 사진을 찍어 보기전에 먹을 뻔 했다.
벽에 국수는 주문받아 삶기 시작하여 맛있게 끓여 나오니 조금 기다려 달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국수집이 정직하고 최선을 다한다는 증거다.
국물맛은 정말 비린내 없이 맛있다.
안사람이 주문한 멸치국수와 김치말이 국수가500원 차이에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우선 계란 반개가 있고 유부가 좀더 많고 매운 김치가 충분히 들어가 칼칼한 맛을 낸다.
칼칼한 맛을 내기 위해 들어간 청량고추보다 후추가루가 너무 들어가 조금거슬리는 부분이다.
워낙 심심하게 음식을 먹는 나로서 부담이 되었다.
젊은 대학생들 입맛을 고려 하여 칼칼하고 맵게 만든다고 향신료 후추가루로 매운 맛을 가미했다.
국수를 먹은 뒤 다시 국물맛을 보자 라면 국물 가까운 맛이 난다.
멸치국수의 은은한 맛을 기대한 나에게는 차라리 김치말이 국수 말고 그냥 멸치국수가 나을뻔 했다.
가끔 우리가 다니는 작은 교회에서 수요 저녁 예배시 안사람이 저녁 식사봉사로 잔치국수를 만든다.
그냥 후딱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안사람은 멸치와 참치액을 쓴다.
그리고 파를 쫑쫑 썰어 넣은 양념간장과 김치 냉장고에서 꺼낸 김치를 잘게 썰어 참기름에 무쳐 내 놓는 데 먹는 사람들이 국수위에 놓아가며 간을 맞춰 먹는다.
국수가 하얗고 부드러운 것은" 풍국면 골드"로 고급 품질이어서 그렇다.
대중 음식점에서 고급 국수를 쓴다면 채산이 맞지 않을 터다.
후일 안사람이 만화 식객에서 나오는 것처럼 멸치와 뒤포리(말린 밴댕이 ) 50대 50이 아닌 참치액을 넣은 적당한 비율로 새로운 국물을 개발해 내면 교회 식구들과 맛을 품평해 볼터이다.
왕만두는 4개-2,000원으로 부드럽고 속이 맛있다.
뜨거운 김치말이 멸치국수
상호: 고대앞 멸치국수
위치:7호선 고대역 하차, 6번 출구로 나와 고대 정문을 지나 고대 안암 병원 4거리에서 동남쪽 코너에 있다.
전화:953-1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