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가 될까요? <먼나라 이웃나라-이탈리아 편>을 20개로 요약해 놓으신 분에게 감사드립니다.
1. 우리가 지금까지 로마의 문자로 알고있던 알파벳은 건국초기에 도시에 불과했던 로마를 지배했던 에트루리아가 그리스 문자를 자신들의 방식으로 바꾼것을 로마가 쓴 것이다.(한마디로 알파벳은 로마 문자가 아니라 에트루리아 문자)
2. 로마의 대표적인 건축양식인 아치(Arch)와 인기오락 격투기, 작명법, 마차경주, 연극, 의상등은 로마가 에트루리아에게서 배워 간것이다.(에트루리아 문화의 중요성)
3. 지리적인 위치가 좋아 무역에 용이한 로마는 해양국가 에트루리아의 식민지배를 받다가 독립하였다.
4. 로마는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에서 행해지는 왕정이 아닌 공화정으로 출발했다.
5. 로마의 정치 구성은 초기에는 귀족 출신의 2명의 집정관, 300명의 원로원으로 이루어 졌지만 이후 평민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해 평민 대표인 2명의 호민관을 선출하게 되었다.
6.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한 로마와 북아프리카의 강력한 해양국가 카르타고는 지중해의 패권을 두고 국가의 운명을 건 3차례의 포에니 전쟁을 치룬다.
7.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는 육군이 강한 로마와 해군이 강한 카르타고 사이에서 전투가 이루어 지지 않아 오랜 시간을 끌다가 강력한 해군을 양성한 로마의 승리로 끝나고 카르타고는 3천 2백 탤런트의 전쟁 보상금을 지불하게 된다.
8.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한 카르타고는 무역으로 다시 예전의 국력을 회복하고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은 로마 침공을 위해 당시로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던 피레네, 알프스 산맥을 직접 넘어 로마를 침공한다.
9. 연전연승을 거두던 카르타고는 로마의 장군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의 카르타고 본토 침공 작전으로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하고 1만 탤런트의 전쟁 보상금을 지불하게 된다.
10. 로마의 계략으로 모든 무기를 몰수 당한 카르타고는 로마의 침략에 무기없이 성안에서 3년동안 항전하다 멸망했다.(제3차 포에니 전쟁)
11. 포에니 전쟁동안 군자금을 지원해주던 로마의 귀족들은 댓가로 식민지가 된 토지를 소유함으로서 엄청난 부를 누리게 돼 빈부격차가 심해졌다.
12. 부패한 로마를 개혁하기 위해 그라쿠스 형제는 개혁을 추진하나 귀족들의 반발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족들에게 살해 당했다.
13. 에스파냐의 사령관이었던 카이사르, 부호 크라수스, 해적 소탕의 공로자 폼페이우스가 로마 귀족들을 꺾고 삼두정치를 펼치게 된다.
14. 크라수스가 동방원정 도중 죽고 카이사르와 폼페이가 집권을 위해 전쟁을 하게 되고 카이사르가 승리한다. 이때부터 공화정이었던 로마는 사실상 카이사르의 일인독재가 펼쳐지게 된다.
15. 카이사르의 단독 집권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카이사르의 양아들을 포함한 무리들이 카이사르를 암살하게 된다.
16. 카이사르의 후계자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 레피두스가 제2차 삼두정치를 하게 된다.
17. 반란을 일으킨 레피두스는 제거되고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가 전쟁을 해 옥타비아누스가 승리, 그는 '존엄한 자'라는 '아우구스투스'의 칭호를 받게 되고 훌륭한 정치를 편다.
18. 태평성대가 계속되던 로마에 군인들이 정권에 야욕을 가지고 반란을 일으켜 다투어 황제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함으로서 군인황제 시대가 열린다.
19. 콘스탄티누스는 황제의 존엄을 위해 자신을 제외한 다른 황제들을 모두 제거하고 수도를 로마에서 비잔티움으로 옮겨 콘스탄티노플이라 명명하고 로마제국을 동로마(비잔틴 제국), 서로마로 나눠 로마제국의 동방 문화를 꽃피웠다.
20. 서로마의 황제가 동로마제국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단독 정치를 하지만 476년. 게르만의 장군 오도아케르에 의해 서로마는 멸망, 동로마는 이후 1천년 가까이 더 지속되다 오스만 투르크의 침공으로 1453년 멸망하게 된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런 어휘도 한자어 (0) | 2009.08.30 |
---|---|
관절건강 (0) | 2009.05.15 |
[스크랩] 혼자서도 갈수있는곳 (0) | 2009.02.05 |
[스크랩] 국수요리 모음 (0) | 2009.01.07 |
[스크랩] 1박 2일에 나온 유선관 이용방법 좀 알려주세요 ........................ (0) | 2008.12.19 |